3.3 C
Kosong
3월 27일 월요일 2023년 13주

다이빙홀릭 해양생물도감

어류도감

쏠배감펭

영어이름: Luna lionfish
다른이름: Dragon’s beard fish
학명: Pterois lunulata
사진출처: Izuzuki

목격지 및 서식지

분포 및 서식지

한국 동해부터 제주도까지 그리고 일본 훗카이도 근해를 포함한 서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고 있었으나 대서양에서도 외래종으로서 침범한뒤 천적이 없어 멕시코, 미국동부에 기하급수적으로 그 수가 늘어 본래 고향인 서태평양에서보다 수가 많아졌다고 한다.

스쿠버 다이빙이나 스노클링을하다보면 가장 자주 보게된다는 물고기가 라이언피쉬(lionfish)인데요. 몸 전체를 덮는듯한 긴 지느러미가 나풀거리는 모습을 처음 눈으로 보게되면 그 매력에 빠지게되는 물고기이죠. 하지만 장미꽃같은 화려함 속에는 가시가 있고, 라이언피시의 가시에는 독이 있습니다. 라이언피쉬도 대분류로 올라가면 스콜피온피쉬와 비슷한 개체들이고 모두들 위험한 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루나 라이언피시 옆모습
쏠배감펭은 dragon’s beard fish로도 알려져있다.

라이언피쉬는 사실 좀더 큰 분류이고 여러가지 종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쏠배감펭은 한국에서도 볼 수 있는 종이예요. 쏠배감펭의 영어이름은 Luna Lionfish이지만 본래 서태평양에서 서식하던 물고기라서 많이 발견되는 일본에서의 이름을 딴 영어이름이 더 많이 알려졌나봅니다. Dragon’s beard fish (용의 수염 물고기)라고도 한다는 군요.

새끼(juvenile)때의 모습은 뭔가 좀 더 수염처럼 생기긴 했네요.

좀더 하얗고 줄무늬가 적은 모습의 어린새끼 모습
juvenile luna lionfish – 쏠배감펭 새끼. (사진: Izuzuki)

라이언피쉬는 지느러미를 화려하게 펼친 모습과 그런 독특한 모습으로 사냥하는 모습이 매력적이어서 관상용으로도 종종 키우는 해수어입니다.

천적이 없어 대서양의 골치거리인 쏠배감펭

그런데 이 물고기는 원래 미국이나 멕시코 해안에서는 없었다고 하지만 지난 몇년 전 전부터 그쪽에서 많은 수가 늘었다고 하네요.  수족관이나 관상용으로 키우다 바다에 방생된 개체들이 번식을 한 걸로 추정된다네요. 쏠배감펭의 고향인 서태평양에서는 천적인 상어들은 쏠베감펭을 먹이로 잘 먹고 살았지만 대서양의 상어들은 낯설은 이녀석을 먹이로 생각하지 않는다고해요. 그래서 먹질 않는다는 군요. 처음보는데 생긴 거부터가 괴상하게 생겼잖아요.

 

놀랍고 황당한 표정의 상어그림

천적이 없는 루나 라이언피쉬는 결국 미국과 멕시코 환경부의 골치거리로 급부상했고 개체수를 줄이려 여러가지 노력을 하다 내린 결론은 결국 ‘많이 잡자’였나 봅니다. 낚시면허가 없어도 그냥 닥치는대로 잡아달라고 할정도라네요. 은신처에서 잘 돌아다니지 않다보니 낚시나 그물로 잡기도 까다롭고 다른 물고기 때문에라도 딱 라이언피시만 골라잡을 수 있는 다이버들의 작살질로 많이 잡는다고 해요.

이렇게 인위적으로 개체수를 줄이기위해 쏠배감펭 낚시대회도 열고, 지역식당에서 음식으로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하네요.

쏠배감펭(루나 라이언피쉬) 요리 레시피

손질은 등지느리머와 가슴쪽, 뒤에 배지느러미에 돋은 독가시를 잘라는게 우선입니다. 아예 뽑아낼 필요는 없고 가위로 뿌리쪽을 싹뚝 싹뚝 잘라내면 된다고 합니다.

흰살생선 물고기로, 육질도 쫄깃하며 지방이 많아서 구이요리하기에 좋다고 해요. 가시를 손질한뒤 자유롭게 회처럼 포뜨듯 살을 발라내 우유와 버터, 양파등을 버무린 소스에 익혀서 생선스테이크로 해먹기도 한다고 해요.

도감 정보

외형 특징

유선형 몸형태에 등지느러미와 가시지르러미가 길게 달려있는 물고기이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에 흑갈색 반점이 있다. 연한 붉은 색을 띄고 몸에는 흑갈색의 줄무늬가 많이 그려져있다. 입은 위아래턱이 같은 길이이다. 몸길이 약 30~40cm정도로 자란다.

먹이 및 식성

육식: 긴 지느러미를 그물처럼 펼쳐서 작은 물고기를 몰아 잡아먹는데 무리지어 생활하며 함께 협력 사냥을 하곤 한다. 크기가 비슷하거나 더 큰물고기는 먹지않으며 입에 들어갈 만한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행동습성 및 번식

활동적이지 않고 게을리 돌아다닌다. 산란하면 암컷이 알을 우무질 젤라틴 덩어리에 감싸서 떠다니도록 하고다닌다. 일년에도 여러번 산란기를 거치며 한번 낳을 때 한마리가1만개이상 알을 낳는다고 한다.

주의사항

venomous: 게으르고 그리 사납지는 않지만 호기심이 많아 사람에게 다가오기도한다. 가시지느러미에 독이 있으므로 찔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가시지느러미는 장갑이나 잠수복도 뚫을 정도로 날카롭고 찔리면 쇼크를 일으켜 정신을 잃을 수도 있다. 독가시만 잘 발라내면 먹을 수 있다.

댓글 남기기

다른 블로그 글

해투에 최적화된 경량 BCD 아웃로 unboxing 과 조립

국내에서 찬물다이빙과 섬다이빙을 다니면서 장비들을 구입하여 지금까지 경량화에 관심이 없었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해가 거듭할수록 해투를 더 자주가게 되었고 더 오지로 가게 되면서 환승할 일도 많아지고

추자도 돌돔카페 다이버 할인! (똚카페)

다이빙 여행에 커피와 음료 한 잔! 카페가 빠질수 없죠. 추자도의 유일한 다이빙샵 ‘추자다이브’에서 다이빙을 한다면 돌돔까페에 들러보세요. 똚CAFE에서는 추자도민에게는 잔당 500원 할인해주는데요. 추자다이브에 손님으로 온

추자도 신등대수산식당에서의 늦은점심

추자도 맛집 ‘신등대 수산식당 민박’은 식당은 대서리에 위치한 민박, 갯바위 전문낚시배까지 운영하는 All-in-One 식당입니다.  저희는 다이빙 후에 늦은 점심을 먹기위해 이용한 곳인데요. 미리 알고간곳은 아니고

거북손 먹어 볼 수 있는 추자도 맛집 – 보라네

추자도에 다이빙을 하러왔다면 추자다이브 바로 옆집에 있는 추자도맛집 ‘보라네’에 들러 식사해보세요. 보라네정식, 해물라면, 삿갓조개를 끓인 배말탕, 생선구이, 삼치회와 매운탕등등의 메뉴가 있습니다. 메뉴는 자주 바뀌어요. 특히